해외마케팅(시장) 보고서
한국의 對중동 지역별 수출입 동향 (2020년 10월) 2020.11.26 |
---|
|
한국의 對중동 지역별 수출입 동향 (2020년 10월) 1. 對GCC 6개국 수출입 동향
□ 10월 對GCC 6개국 수출은 7.0억 달러(전년 동월 대비 △25.1%), 수입은 28.7억 달러(△31.1%), 무역수지는 21.8억 달러 적자 □ (수출) 전년 동월대비 25.1% 감소
ㅇ (국가별) 전년 동월 대비 對UAE(+3.2%), 카타르(+2.6%), 바레인(+80.3%) 증가. 사우디(△31.4%), 오만(△58.6%), 쿠웨이트(△80.2%) 감소
□ (수입) 전년 동월 대비 31.1% 감소 - 對GCC 광물성연료 수입액 감소: 4,005,169천 달러 → 2,650,683천 달러 - 對GCC 광물성연료 수입중량 증가: 8,052,823천 kg → 8,467,563천 kg
ㅇ (국가별) 전년 동월 대비 對바레인(+94.9%) 증가. 對UAE(△68.6%), 사우디(△10.7%), 오만(△36.9%), 쿠웨이트(△25.4%), 카타르(△34.6%) 감소
□ (무역수지) 21.8억 달러 적자. 저유가 기조로 인해 광물성연료 수입액이 감소(△33.8%)하여 전년 동월 대비 무역수지 적자 규모 감소 2. 對레반트(+이라크) 5개국 수출입 동향
□ 10월 對레반트(+이라크) 5개국 수출은 3.1억 달러(전년 동월 대비 △20.7%), 수입은 2.3억 달러(△50.6%), 무역수지는 0.7억달러 흑자 □ (수출) 전년 동월 대비 20.7% 감소
ㅇ (국가별) 전년 동월 대비 對이스라엘(+73.4%) 증가. 對이라크(△63.8%), 시리아(△78.3%), 레바논(△23.5%), 요르단(△3.6%) 감소 □ (수입) 전년 동월 대비 50.6% 감소
ㅇ (국가별) 전년 동월 대비 對이스라엘(+73.4%), 시리아(+100.0%) 증가, 對요르단(△50.1%), 레바논(△43.9%), 이라크(△63.8%) 감소
□ (무역수지) 0.7억 달러 흑자. 對이라크 광물성연료 수입액이 전년 동월 대비 63.8% 감소하여, 4개월 만에 무역수지 흑자로 전환
3. 對터키 수출입 동향
□ 10월 對터키 수출은 4.6억 달러(전년 동월 대비 △6.0%), 수입은 1.4억 달러(+75.1%), 무역수지는 3.2억달러 흑자 □ (수출) 전년 동월 대비 6.0% 감소
□ (수입) 전년 동월대비 75.1% 증가
□ (무역수지) 3.2억 달러 흑자. 對터키 최대 수출 품목이던 의료용품 수출 급감(△76.7%)과 의료용품, 광·슬랙·회 등 주요 품목의 수입액 증가로 전년 동월 대비 무역수지 흑자 규모 감소
4. 對이란 수출입 동향
□ 10월 對이란 수출은 1,627.2만 달러(전년 동월대비 △13.1%), 수입은 16.9만 달러(△87.7%), 무역수지는 1,610.3만 달러 흑자
□ 미국의 對이란 무역제재 지속으로 對이란 교역 어려움 지속 ㅇ 미 재무부, 이란 석유 산업에 추가 제재
※ 국가별 주요 수출입 품목 등 자세한 내용은 첨부의 보고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끝.
|